📝 과제 내용
1. 서버로 사용하는 OS 종류 및 특징
2. 물리서버, Cloud 서버 특징 및 차이점
1. 서버로 사용하는 OS 종류 및 특징
◾ OS (운영체제) 란 ?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지원하는 것
◾ 서버용 OS랑 일반 OS랑 뭐가 다른가?
- 일반 컴퓨터와 구성은 다르지 않다. (메인보드, CPU, 램, 디스크 등..)
일반 OS의 경우 멀티미디어 환경을제공 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고,
서버 OS에는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 그래서 서버OS에서는 일반 OS에는 없는 특수한 기능들이 있다.
예를들어서 서버용 OS의 경우 보안 등이 일반 OS보다 강화되어 있으며, 동시 접속 수가 크다.
(동시 접속 수는 CAL을 구매하여 더 확장 가능)
또한 24시간 서버 가동을 위해 효율적으로 열을 배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서버 OS에는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 하기 위해 CPU와 RAM이 여러개 장착 되어 있다.
*** CPU : 2~6개 / RAM : 12개 이상 장착 가능
- 서버 보증기간이 일반 컴퓨터보다 길며 기술 지원 체계도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서버 OS는 반드시 정품 서버를 이용해야한다.
◾ 서버용 OS의 종류
- 사용성에 맞는 적절한 서버 운영체제를 사용해야한다.
- 모든 서버의 약 80%가 Linux 배포판을, 약 20%는 Windows를 사용한다고 한다.
Windows Server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하는 컴퓨터 운영체제로 .NET 프레임워크 등 Microsoft 기술과의 통합이 원활하다.
- 가장 많은 점유율 차지
- 모바일 운영 체제도 개발 한 적 있으나, 모바일 운영 체제 시장을 극복하지 못하고 모바일 사업은 철수함
- GUI 환경으로이루어 져 있어 사용자에게 최적화가 가장 잘 되어 있는 운영체제이다.
- 오픈소스가 유료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경하여 이용 할 수 없고, 버그가 발생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개발자의 답변을 기다려야한다.
- 개발자를 위한 환경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개발 할 때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UNIX
- 운영체제가 대부분 고급 언어인 C언어로 만들어져 있고 소스코드를 쉽게 구할 수 있어 다른 컴퓨터 하드웨어나 새로운 기종에도 쉽게 이식 할 수 있다.
- 서버 운영의 필수적인 CLI가 강해 서버 시장에서는 Windows 이상으로 인기가 좋다.
- 오랜 기간 발전 해 오면서 안정성을 인정받고, 위협으로 부터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 하드웨어 호환성이 Windows에 비해 낮고 멀티미디어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LINUX
- 커널의 일종인 리눅스커널 또는 리눅스 커널를 사용하는 운영체제
- 무료 + 오픈소스로 기업 또는 개인이 사용하여 자신만의 운영체제로 배포/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
- 대표적으로 데비안, 우분투, 칼리 리눅스, 구름 OS가 포함된 데비안 계열이 있고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Cent OS, 붉은 별이 포함 된 레드햇 계열,
안드로이드, 크롬 OS가 포함된 안드로이드 계열이 있다.
- 오픈소스 이기 때문에 서버의 용도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또한 이용하다가 버그나 에러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그 자리에서 개선을 할 수 있다.
- 배포될 때 커널과 소스들이 잘 정리되어 있지 않고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 입출력시 비동기화 방식이기 때문에 시스템 충돌, 전원문제 등이 발생하는 경우 파일 시스템이 깨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MAC OS Server
- 애플이 mac OS 기반으로 개발한 서버용 운영체제
- Mac 기기와 통합성이 뛰어나고 Mac 환경에서 웹 서비스 구축이나 앱 개발에 적합하다.
- 시스템 관리와 보안 기능이 잘 되어 있다.
- 중소규모 또는 Mac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때 사용
◾ LINUX의 보안이 취약할 수 있다는데 왜 LINUX를 더 많이 사용할까?
1.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 : 가장 널리 쓰이는 이더넷을 포함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여 TCP/IP, IPX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2. 뛰어난 이식성 : 조금의 어셈블리어와 대부분의 C언어로 작성되어있어 C를 컴파일 할 수 있다. 어셈블리어 부분만 새롭게 만들고 C를 다시 컴파일함으로써 쉽게 다른 시스템이나 환겨 ㅇ등에 이식하여 사용 할 수 있다.
3. 뛰어난 안전성과 보안성 : 위험하다면서요! 하지만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상용 운영체제보다 빠른 오류 수정과 보안과 관련된 패치에 대응하여 안정성을 확보한 버전을 발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물리서버와 Cloud 서버의 특징과 차이점
◾ 물리서버와 Cloud 서버의 뜻
- 물리서버 : 컴퓨터 자체
- Cloud 서버 : 컴퓨터 내부에 있는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서버
◾ 물리서버
- 물리서버의 자원 하나를 한 사용자가 단독으로 사용한다. 주로 서버를 호스팅 할 때 사용
→ 한 사람이 하드웨어 자원 하나를 모두 사용 하기 때문에 성능이 좋다.
→ 한 명인 사용자가 자원을 자유롭게 관리/운영 한다.
→ 사용자가 늘어나더라도 자원을 추가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물리서버의 경우, 개인이 물리서버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컴퓨터의 성능 한계, 정전 등의 여러가지 상황 + 서버 확장의 어려움 등 )
- 업체에서 IT 자원인 물리서버를 판매하거나 대여하거나 관리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 Cloud 서버
- 물리서버의 단점으로 인해 클라우드 서버가 등장
- 물리 서버를 나누어 여러개의 가상 서버로 사용하는 가상화 방법의 한 형태이다.
( 물리적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할당 해 주는 것. )
- 확장과 축소가 쉽다.
◾ 서버의 구매 방법
서버 임대 | 서버 구매 | 클라우드 |
- 서버를 빌리는 것 - 2년 이상 장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유리 - 임대계약 동안 서버의 소유권이 호스팅 업체에게 있고 약정 이후 고객에게 소유권이 넘어감 - 제품에 하자가 발생하면 무상으로 A/S 처리나 제품 교환 가능 - 중도에 서버 해지 시 해지 위약금 발생 |
- 서버 장비 비용을 일시로 납부하고 12개월 동안 회선, 상면, 부가서비스 비용만 지불하는 방식 - 초기에 많은 자금을 투자해야함 - 구매하는 순간부터 서버 소유권을 고객이 가짐. |
- 자신이 운영하는 서비스가 주기적으로 서버를 증설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유리 (ex. 단기 이벤트, 광고, 업데이트용 클라우드 등) |
-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어느정도의 자원이 필요한지 예측 → 예측한 것을 바탕으로 CPU, RAM, 디스크 결정 → 부가적으로 RAID, 관리 기능 여부, 확장성을 고려
◾ 서버의 필수자원
구분 | 내용 |
CPU |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장치 코어수, 클럭, 캐시, 가상화지원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 |
RAM |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기억장치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지워짐 저장 용량, 속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 |
DISK | 정보 저장장치 용량, 회전수, 전송 속도, 인터페이스, SSD 등을 고려하여 선택 |
RAID | 2개 이상의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 대용량 저장장치로 만들 수 있음. 서버 업체에 따라 원격으로 서버 전원을 켜고 끄거나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함 → 보통 서버가 데이터센터에서 운영되기 때문 |
◾ 서버를 고르는 방법
-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더 많은 용량과 성능이 필요하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서버의 확장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스케일업 혹은 스테일 아웃을 결정
** 스케일 업 : 서버에 CPU, RAM등을 추가 하는 것
** 스케일 아웃 : 서버를 여러대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
- 서버를 구매할 때보안 서비스도 함께 제안 받는 것이 좋다.
→방화벽은 기본으로 해 주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웹방화벽 IPS, 웹쉘탐지, DB암호화 등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 방화벽 : 네트워크방화벽, 원치않는 트래픽으로 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것
** 웹 방화벽 : SQL Injection, Cross-Site Scripting(XSS)등과 같은 웹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것
** IPS (침입 방지 시스템) : 악성 트래픽을 식별하고 그러한 트래픽이 네트워크에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
** 웹셀탐지 : 공격자가 파일 첨부 기능이 있는 게시판 등에 악성파일을 업로드한 뒤 관리자가 이를 실행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공격
** DB 암호화 :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암호화 하는 것. 주로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민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사용
◾ VPS 호스팅과 Cloud 호스팅의 차이점
VPS 호스팅의 경우 물리서버 업체에서 정해놓은 스펙의 IT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들어 서버실에 쭉 나열 되어 있는 많은 서버 중에 한 칸을 할당받아 사용하는 것. 월 정액제 방식이다.
그에 반해 Cloud 호스팅의 경우 단순히 하나의 가상 서버를 임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만큼 IT자원(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을 빌려쓰는 방식. 사용한 만큼 후불제로 부담한다.
VPS 호스팅은 처음 신청 시 선택한 스펙까지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클라우드는 업체에서 정해 놓은 스펙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다가 사용량에 따라 확장, 축소, 분리가 가능하다.
VPS 호스팅은 서버를 사용하는 도중에는 사양 변경이 불가능하고 변경하려면 서버를 재부팅해야하지만, 클라우드서버는 재부팅 없이 사양 변경이 가능하다.
서버를 동기화 과정에서 서버에 문제가 있으면 관련된 모든 계정의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지만, 클라우드서버는 여러 서버 간 동기화를 통해 특정 서버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서버는 데이터에 이상 없이 전송이 가능하다.
💌 Reference
[운영체제] 운영체제(OS)란?
운영체제(OS)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운영체제의 목적은 사용자와
jerryjerryjerry.tistory.com
서버와 일반 컴퓨터의 차이
[BY 가비아]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서버를 다른 것으로 생각하지만 구성은 사실...
m.post.naver.com
운영체제의 종류
컴퓨터공학 스터디 W7에서 직접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daeun28.github.io
01 서버 OS 종류
01 서버 OS 종류 서버 OS(Server Operating System)는 서버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를 의미합니다. 주요 서버 OS의 종류와 간단한 특징을 설명…
wikidocs.net
가비아 -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IT상식] 가상서버와 물리서버의 차이
tv.naver.com
리눅스란 무엇인가? 역사/특징/종류/구조 총정리
목차 FullMoon System fullmoon-system.com 리눅스(Linux)란? 리눅스는 컴퓨터 운영체지 중 하나이며, 1991년 9월 17일 핀란드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라는 사람이 개발하여 처음 출시한 운영체
onecoin-life.com
윈도우와 리눅스중 어느게 더 보안에 취약할까??
많은 기업에서 서버 OS를 선택할때 윈도우 서버와 리눅스 서버 중에 고민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몇가지 비교군이 있겠지만 보안에 있어서는 어느게 더 성능이 우수하고 어느게 더 보안에 취약할
chucoding.tistory.com
[인프라] 물리서버와 가상서버 차이는 무엇일까
개요 배포를 공부하면서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되었고 기본적인 개념이 필요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용어 정리 가상화(virtualiza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한 컴퓨터 안에 있는 하드웨어 자
kchs94.tistory.com
'스터디 > 사내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란? (0) | 2024.03.07 |
---|---|
WEB 서버 와 WAS 서버 (0)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