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Node.js 사용하기

728x90

 

1. 패키지의 루트폴더 만들기 

 

- 폴더를 만든 후 vs code에서 파일 - 폴더열기 - 생성한 폴더를 열어줌

 

2. 패키지 생성 

- vs code에서 컨트롤 + J를 눌러서 터미널 연 뒤 패키지를 초기화 및 생성하기 위해 npm init  명령어를 입력

- 오류발생

 

- 해결방법
  vs code의 파일 - 기본설정 - 설정에 들어간 뒤 window profile 검색 

 

  null로 되어있는 터미널 기본 프로필을 command prompt로 변경 후 vscode 재시작 

 

 

 또 오류 발생

 

   windows powershell 을 관리자로 실행 한 후 get-ExecutionPolicy 검색 시 Restricted 인 경우 로컬에서 작성한 스크립트를 실행 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

 

권한 상태를 RemoteSigned로 변경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Y

 

 

vs code로 돌아가서 다시 npm init 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뜬다.

이 상태에서 엔터 (패키의 이름을 section03으로 지정) , 다시 엔터 (패키지의 버전도 1.0.0 기본값으로 지정), 다시 엔터 (패키지에 대한 설명 - 생략가능) , 다시 엔터 (메인으로 실행될 js 선택), 다시 엔터 (테스트 커멘드 선택), 다시 엔터 (깃 레파지토리), 키워드~ 라이센스 모두 엔터하고 나면 생성됨 

마지막으로 엔터를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패키지 생성 됨

 

3.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Node.js로 실행해보기 

 

(1) 자바스크립트 파일 생성 

 

(2) Node.js로 실행시키기

node 파일명.js
node 경로/파일명.js

 

파일이 많아지고 경로가 복잡해지면 관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패키지파일의 스크립트에 등록 해 두면 자동으로 실행이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