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자열만들기
-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 모두 문자열을 만든다.
# 한개만 출력
print("Hello World")
print('hi~')
print()
print(10, 11, 12, 13)
-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를 넣으려면 작은따옴표 안에 큰 따옴표를 넣거나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한다.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넣기
print('"hello"라고 말했다')
print("\"안녕\"")
#줄바꿈과 탭
print("줄\n바꿈입니다")
print("\t탭적용")
#역슬래시 출력하기
print("\\")
- 큰따옴표 3개를 연달아쓰면 여러 줄 문자열 기능을 지원한다.
print("""안녕하세요
파이썬은
여
러
줄
문자열 기능을 지원합니다.""")
- 여러줄 문자열에서 줄바꿈을 적용하지 않을때에는 큰 따옴표3개뒤에 역슬래시를 넣어준다.
print("""\
안녕하세요
파이썬은
여
러
줄
문자열 기능을 지원합니다.\
""")
2. 문자열 연산자
- print에서 연속으로쓰면 콤마마다 띄어쓰기가 적용되나 +로 문자를 연결하면 띄어쓰기 없이 붙여서 출력된다.
- 단, 문자열끼리만 +처리가 가능하다. (ex print("안녕"+1) 불가)
#문자연결
print("안녕"+"하이")
#print에서 연속쓰기와 차이
#print("안녕","하이")
print("안녕","하이")
- 곱하기는 문자를 반복하여 출력한다. (띄어쓰기 없음)
#곱하기는 문자 반복
print("반복"*3)
- 문자열의 내부 문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문자열[인덱스번호]
#문자 선택 연산자(인덱싱)
print("파이썬신기한데어려워")
print("파이썬"[0])
print("파이썬"[1])
print("파이썬"[2])
print("파이썬"[-2])
print("파이썬"[-1])
print("파이썬"[0])
- 슬라이싱을 용하면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슬라이싱을 하면 문자열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
print("하이안녕하세요"[1:3]) # 이안
print("하이안녕하세요"[3:4]) # 녕
print("하이안녕하세요"[1:]) # 이안녕하세요
print("하이안녕하세요"[:4]) # 하이안녕
- 문자열길이는 len()함수
print(len("하이"))
3. 숫자
- 숫자를 만들려면 print()에 바로 숫자를 입력하면된다.
- 입력한 자료의 유형을 알려면 type() 함수를 쓰면 된다.
print(type(50))
print(type(50.1))
- 사칙연산은 동일하나, /를 하나만쓰면 소수점이 있는 나누기가 되고 //를 쓰면 정수 나누기 연산자이다.
- **는 제곱을 뜻한다.
#사칙연산
print(1+2)
print(10-14)
print(5/7) #소수점이 있는 나누기
print(5//7) #정수나누기
print(5**2) #제곱
4. 변수
- 자료형을 쓰지 않아도 된다.
단, 자료형이 다르면 오류발생 (ex. a +"하이" )
a = 1.23455
a
5. 사용자입력
- input() 사용
input("입력하세요 > ")
string = input("입력하세요>")
print("자료형", type(string))
print("입력내용", string)
6. 캐스트
a = float(input("숫자1입력>"))
b = float(input("숫자2입력>"))
print(a+b)
print(a/b)
print(a*b)
a = str(5.212)
print(type(a))
7. format()
-format()을 쓸 때에는 중괄호 개수와 매개변수 개수가 같아야한다.
"{}".format(10)
"{}{}{}".format(10,20,30)
a = "{}년".format(2024)
b = "{}년 {}월 {}일".format(2024,4,11)
print(a)
print(b)
#정수
a = "{:d}".format(40)
#특정 칸 출력
b = "{:3d}".format(40)
c = "{:5}".format(40)
#빈칸을 0으로 채우기
d = "{:05d}".format(43) #양수
e = "{:05d}".format(-43) #음수
print(a)
print(b)
print(c)
print(d)
print(e)
8. format 기호출력
#기호출력
a = "{:+d}".format(100)
print(a)
a = "{:-d}".format(-100)
print(a)
9. format 부동소수점 출력
a = "{:f}".format(10.123)
print(a)
a = "{:10f}".format(10.123)
print(a)
10. format 소수점 자릿수 지정
a = "{:15.4f}".format(10.1234345)
print(a)
11. 문자 대/소문자 바꾸기
a = "hello"
b = "HELLO"
print(a.upper())
print(b.lower())
12. 공백제거
a = """ 하
이"""
print(a.strip())
12. 문자열 구성 파악 isOO()
- isalnum() : 문자열이 알파벳 or 숫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 isalpha() : 문자열이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 isidentifire() : 문자열 식별자 사용 가능 여부
- isdecimal() : 문자열이 정수인지 확인
- isdigit() : 문자열이 숫자로 인식 될 수 있는지 확인
- isspace() : 문자열이 공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 islower() / isupper : 문자열이 소문자/대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13. 문자열찾기
a = "하이".find("이")
print(a)
14. in연산자
- True/Flase로 리턴
print("안"in"안녕")
15. 문자열자르기
a = "안 녕 하 세 요 ".split(" ")
print(a)
16. f-문자열
- 문자열 연결 연산자. .format()을 줄여사용 가능
- 문자열 내용이 너무 많거나 데이터를 리스트에 담아서 사용할 때에는.format()함수가 더 좋다.
# f'문자열{표현식}문자열'
"{}".format(10)
f'{20}'
'스터디 > 혼자공부하는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6. 예외처리 (0) | 2024.04.20 |
---|---|
chapter05. 함수 (2) (1) | 2024.04.20 |
chapter05. 함수 (1) (0) | 2024.04.17 |
chapter04. 반복문 (0) | 2024.04.15 |
chapter03. 조건문 (0) | 2024.04.15 |